모든 알림은 빨강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경고등!!!
모든 알림은 노랑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주의등!!!
모든 알림은 연두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태등!!!
_에어백경고등(경고)_
발생원인: 에어백 경고등은 시동이 켜지면 6초간 상태를 점검 중에 점등되고 문제가 없으면 소등됨.
대응방법: 계속 점등 또는 주행 중 점등되면 에어백장치 문제 신호로서 점검 받아야 함
_운전자 에어백 작동 정지 경고등(경고)_
발생원인: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에어백 작동하지 않음을 경고함
대응방법: 운전자가 탑승하고 안전벨트를 착용하였는데도 계속 점등 또는 주행 중 점등되면 에어백 장치 문제신호로서 점검 받아야 함.
_승객에어백 경고등(경고)_
발생원인: 에어백 경고등은 시동이 켜지면 약 6초간 상태 점검 중에 점등되고 문제가 없으면 소등됨.
대응방법: 계속 점등 또는 주행 중 점등되면 에어백 장치 문제신호로서 점검받아야 함.
_승객 에어백 작동정지 경고등(경고)_
발생원인: 승객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에어백 작동하지 않음을 경고함
대응방법: 승객이 탑승하고 안전벨트를 착용하였는데도 계쏙 점등 또는 주행 중 점등되면 에어백 장치 문제신호로서 점검받아야 함.
_도어열림 경고등(경고)_
발생원인: 열린 도어가 있음.
대응방법: 모든 도어가 닫혔는지 확인.
_저압타이어 경고등/TPMS경고등(경고)_
발생원인: 타이어 공기압이 매우 낮을시 점등되며 임시 타이어에는 TPMS가 장착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경고등이 켜질 수도 있음
대응방법: 타이어 공기압을 점검하고 표준공기압으로 보충 또는 타이어 파손상태 등 확인
_긴급제동시스템(AEBS)경고등(경고)_
발생원인: 차량과 추돌이 예상될 때 경고음과 함께 경고등이 점멸됨.
_차로이탈경고시스템 경고등(경고)_
발생원인: 운전자가 방향지시등을 작동하지 않은 채 차선을 이탈하게 되면 이를 알려주는 장치. 차선이탈 스위치를 누르면 설정에 따라 차선 유지 및 이탈 표시등이 작동함.
_측방 및 후방근접 물체 경보(경고)_
발생원인: 후방이나 측방의 근접 물체감지시 작동
_본네트(후드) 열림 경고등(경고)_
발생원인: 본네트(후드)가 열리면 점등됨
대응방법: 후드를 닫음
_트렁크 열림 경고등(경고)_
발생원인: 트렁크가 열리면 점등됨
대응방법: 트렁크를 닫음
_이모빌라이져 경고등(경고)_
발생원인: 이모빌라이저 이상시 점등됨
대응방법: 이모빌라이저 관련 모듈이 고장난 경우로 가까운 직영 정비센터 등을 방문하여 검사용 진단기 등으로 고장 내용 확인 필요
_충전 경고등(경고)_
발생원인: 배터리 방전, 팬 벨트 손상으로 충전장치 이상시 점등됨, 배터리 방전시 시동이 걸리지 않음. 경고등이 점등된 채로 주행하면 냉각팬이 작동하지 않아 오버히트가 발생하수 있음.
대응방법: 배터리 방전, 충전장치 이상 점검 필요.
_서비스경고등(경고)_
발생원인: 서비스 정비 시기를 알려주는 경고등
대응방법: 정비센터 등 방문 필요
_경고등(경고)_
발생원인: 전자제어시스템의 문제가 발생시 점등
대응방법: 기계적 결함 또는 관련 센서나 모듈이 고장난 경우로 가까운 직영 정비센터 등을 방문하여 검사용 진단기 등으로 고장 내용 확인 필요.
_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고장 경고등 (경고)_
발생원인: 전동 파워 스티어링(EPS) 문제시 점등됨. 경고등이 켜지면 핸들 조작에 문제가 발생함.
대응방법: 관련 센서나 모듈이 고장난 경우로 가까운 직영 정비센터 등을 방문하여 검사용 진단기 등으로 고장 내용 확인 필요.
_스티어링 핸들이 잠겼다는 경고등 (경고)_
발생원인: 스티어링 핸들이 잠겼다는 경고등
대응방법: 시동을 거는 등 스티어링 해제시 소등
_점화스위치 경고등 (경고)_
발생원인: 차키로 이그니션 스위치를 돌리지 못하는 경우 점등.
대응방법: 키가 물리적으로 닳거나 헐거워 정상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점등되므로 키 점검필요.
_디젤 매연 필터(DPF/입자상물질)경고등 (경고)_
발생원인: 디젤 매연 필터 장치(DPF)에 문제가 발생하면 경고등이 점등됨.
대응방법: DPF(배기가스저감장치) 기계적 결함이나 작동상태의 점검이 필요.
_엔진관리 경고등 (경고)_
발생원인: 엔진관리 필요시 점등됨
대응방법: 엔진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작동하는 배기가스 제어장치나 엔진 전자제어장치에 이상이 생겼을 시 점등되므로 가까운 직영 정비소 등에 방문하여 검사용 진단기를 활용하여 점검.
_요소수 보충 경고등 (경고)_
발생원인: 요소수 보충 필요시 점등됨.
대응방법: 요소수를 보충하면 소등됨.
_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경고등 (경고)_
발생원인: 에어 서스펜션 체크시 점등됨
대응방법: 계속 점등시 관련 센서나 모듈이 고장난 경우로 가까운 직영 정비센터 등을 방문하여 검사용 진단기 등으로 내용 확인필요.
_현가장치 조절 표시등 (경고)_
발생원인: 현가장치 점검 필요시 점등됨
대응방법: 계속 점등시 관련 센서나 모듈이 고장난 경우로 다까운 직영 정비센터 등을 방문하여 검사용 진단기 등으로 고장 내용 확인 필요.
_후방 자동 스포일러 작동 표시등 (경고)_
발생원인: 리어 스포일러 작동시 점등 됨
ㄹ대응방법: 리어 스포일러 비작동 시에도 계속 점등시 관련 센서나 모듈이 고장난ㄴ 경우로 가까운 직영 정비센터 등을 방문하여 검사용 진단기 등으로 고장 내용 확인필요.
_브레이크 램프 경보등 (경고)_
발생원인: 브레이크 램프 손상시 점등됨.
대응방법: 브레이크등 전구 교체 혹은 LED 수리
_빗방울 및 빛 감지기 표시등 (경고)_
발생원인: 빗방울 및 빛 감지시에 작동
대응방법: 비작동 중일때도 계속 점등되면 관련 센서나 모듈이 고장난 경우로 가까운 직영 정비센터 등을 방문하여 검사용 진단기 등으로 고장 내용 확인 필요.
_어뎁티브 전조등 작동 표시등 (경고)_
발생원인: 전조등이 주행 및 기상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조정되지 않음
대응방법: 관련 센서나 모듈이 고장난 경우로 가까운 직영 정비센터 등을 방문하여 검사용 진단기 등으로 고장 내용 확인 필요.
_컨버터블 표시등 (경고)_
발생원인: 컨버터블 작동시 점등됨
대응방법: 컨버터블 작동과 관련없이 계ㅒ속 점등시 정비센터 등을 방문하여 검사용 진단기 등으로 고장 내용 확인 필요.
_차선이탈방지시스템 경고등 (경고)_
발생원인: 차선이탈시 점등됨
대응방법: 차선 이탈과 관련없이 계속 점등시 정비센터 등을 방문하여 검사용 진단기 등으로 고장 내용 화인 필요.
_디클러치 페달 밟기 표시등 (경고)_
발생원인: 시동시 클러치 밟기를 안내하는 표시.
대응방법: 클러치를 밟아 기능을 작동시키는 경우 소등.
출처:도로교통안전공단
안전을 위해 꼭 확인해야하는 자동차 경고등 1
모든 알림은 빨강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경고등!!!모든 알림은 노랑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주의등!!!모든 알림은 연두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태등!!! 파킹라이트표시등발생원인:주차된 차
thanku2.tistory.com
안전을 위해 꼭 확인해야하는 자동차 경고등 4
모든 알림은 빨강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경고등!!!모든 알림은 노랑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주의등!!!모든 알림은 연두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태등!!!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고장 경고등 발
thanku2.tistory.com
안전을 위해 꼭 확인해야하는 자동차 경고등 5
모든 알림은 빨강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경고등!!!모든 알림은 노랑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주의등!!!모든 알림은 연두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태등!!!_충전기 경고등_ 발생원인: 구동용 배터
thanku2.tistory.com
안전을 위해 꼭 확인해야하는 자동차 경고등 7
모든 알림은 빨강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경고등!!!모든 알림은 노랑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주의등!!!모든 알림은 연두색으로 표시되는 경우 상태등!!!_전자파킹 브레이크 경고등 _발생원인: 전
thanku2.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