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8

인쇄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인쇄에 관한 과학적인 이야기인쇄현재 사용되고 있는 볼록판, 오목판, 평판 인쇄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볼록판 인쇄이다. 우리가 생각하기엔 인쇄 원판이 평평할 것이라 생각하지만 실제 인쇄기에서는 대부분 둥근 원판을 사용하고 그것을 회전시켜 많은 부수를 인쇄한다. 원판이 둥글어도 인쇄가 되는 원리는 똑같다. 단색 인쇄라면 간단하겠지만 컬러 인쇄의 경우는 조금 달라지는데 노랑, 시안, 마젠타 세 가지 색의 컬러 잉크와 검정을 조합해서 감산혼색 방법으로 어떤 색상도 만들어낼 수 있다.  인쇄에 꼭 필요한 종이 제조 과정인쇄를 하려면 기본적으로 종이가 필요하다. 종이는 주로 목제와 면 등의 식물성 섬유를 풀어 엉기게 한 다음 얇게 펴서 만드는데 종이를 만들려면 식물의 가느다란 섬유로 만들어 평평하게 펼치고 아교, .. 2022. 11. 3.
사진의 원리를 알아 볼까요? 사진의 원리를 알아볼까요? 사진 사진 촬영용 필름은 은을 이용하여 영상을 저장한다. 프레임이 되는 플라스틱 필름에 발라놓은 감광성 은 화합물이 빛에 노출되면 분해된다. 그에 따라 빛이 닿은 모든 곳에 은 얼룩이 생기면서 영상이 필름에 저장되는 것이다. 필름이 노출된 곳에 더 많은 은이 생기게 하려면 현상을 해야 한다. 필름을 현상하면 '음화'가 생기는데 그 이유는 피사체의 밝은 부분은 필름에서는 은 때문에 검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필름 대신에 '양화' 된 사진으로 뽑을 때는 이런 과정을 한 번 더 거쳐야 한다. 이것은 필름을 사용한 아날로그 사진의 이야기 ㄱ이고 디지털 사진의 이야기로 넘어가 보자. 디지털 사진은 필름이 없다. 필름을 대신해 전자 센서가 영상을 포착하게 된다. 이 센서는 카메라의 배터리와.. 2022. 11. 2.
빛과 상과 색에 관한 이야기 빛과 상 광선빛을 내는 물체를 광원이라고 하는데 광원에서는, 광선이 모든 방향으로 퍼진다. 광선은 물체에 부딪히면 보통은 반사되지만 광선이 사람의 눈에 들어오면 사람은 광원을 보거나 광선을 반사한 물체를 볼 수 있다. 광선이 눈에 들어오는 각도에 의해서 물체의 크기를 알 수가 있다.  시각사람 눈의 수정체는 물체에서 오는 광선을 굴절시키며 안쪽에 전달한다. 그리고 망막은 빛을 받아들여서 물체의 상을 만든다. 그다음 상은 신경충격으로 바뀌어 뇌에 전달된다. 망막 위에 생기는 상은 거꾸로 되어 있는데. 뇌가 그것을 바로 세워서 읽어낸다.  상의 형성광선이 퍼지다가 유리 같은 투명한 물체를 만나면 방향이 바뀌거나 굴절된다. 가까운 곳의 물체를 렌즈를 통해서 보면 실제보다 아주 크게 보이는데 눈에 들어오는 광선.. 2022. 11. 1.
원자가 만들어내는 거대한 힘. 원자력! 원자력원자력이란 원자 내부의 핵반응에 의해 생긴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핵반응은 핵분열, 핵융합, 자연 방사성 붕괴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일어날 수 있다. 핵반응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는 다른 화학적 또는 전기적 방법으로 생성된 에너지보다 훨씬 크다. 이런 이유로 원자력 에너지는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으나, 이때는 핵반응에서 발생하는 에너지가 매우 크기 때문에 다루기 어렵다. 또한 반응 후 방사성 물질이 생성되는 문제로 인해 다른 에너지에 비해 활용 범위가 다소 제한적이다. 원자력발전과 동시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원자력 발전에서 가장 중요하게 풀어야 할 과제이다. 현대 과학 기술 발전에 따른 에너지 발생 속도와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반응 후 발생하는 방사성 부산물을 적.. 2022. 10. 31.
열에너지의 이용 열의 이용 열이란, 에너지의 한 형태이다. 분자들이 운동하면서 생기는데 어떤 물체 안의 분자들은 끊임없이 움직인다. 이때 분자들이 빨리 움직일수록 물체에서는 열이 발생하고 뜨거워진다. 물체가 열에너지를 받으면 그 속에 있는 분자들은 속도가 더 빨라진다. 반대로 열에너지를 뺏기면 속도가 느려진다. 열에너지의 전달 방법은 복사, 전대, 대류 세 가지 이다. 먼저 복사열은 뜨거운 물체가 방출하는 열선이 낮은 온도의 물체로 전달되는데 어떤 매질을 통하지 않고 열이 직접 이동하는 것을 열복사라고 한다. 열선이 분자들의 움직임을 빨라지게 하고 물체를 뜨겁게 만들어준다. 높은 에너지로 움직이는 분자가 다른 분자에 부딪히면 충돌된 분자들도 빠르게 움직이게 된다. 두 번째로 전도. 고체 안에 있는 분자들은 앞뒤로 진동할.. 2022. 10. 29.
압력(Pressure)- 펌프에 이용되는 압력 이야기 압력(Pressure)압력에 관해 이야기 할 때 펌프를 생각하면 이해해하기가 쉬워진다. 펌프의 안에 액체가 들어오면 그 액체의 분자들이 더 수축 하도록 펌프를 누른다. 하지만 액체는 이미 분자들이 압축된 상태라 더 이상 압축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짓누르면 그 암펵은 바깥 방향으로 분출 되려는 힘으로 작용한다. 반면 기체는 분자들이 멀리 떨어져 있어서 누르면 압축이 가능하다. 이렇게 압축된 기체 역시 바깥 방향으로 분출되려는 힘을 가지게 된다. 두 가지 경우 펌프는 유체의 압력을 높게 해서, 외부의 압력이 낮으면 유체가 밖으로 분출되고, 외부 압력이 높으면 유체의 증가한 압력으로 빵빵해진다. 펌프는 기체의 압력을 낮출 수도 있는데 피스톤의 움직임이 그렇다. 안쪽 공기의 압력이 바깥보다 작으므로 주변의 .. 2022.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