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명심보감 속 인물 - 장자

by Thanku22 2022. 9. 29.
반응형

명심보감 속 인물 - 장자

 

장자(기원전 369년-기원전 286년)는 중국 전국 시대 송나라 몽 출신의 저명한 중국 철학자로 제자백가 중 도가(道家)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노자(老子) 사상을 또는 남화노선계승, 발전시켰다. 본명은 주(周)이다. 후세에 노자와 함께 부를 때 노장(老莊)이라 부른다. 도교에서는 남화진인(南華眞人), 또는 남화노선(南華老仙)이라 부르기도 하며,[장자]는 [남화진경(南華眞經)] 이라 부른다. <삼국지연의>에서 황건적의 지도자 장각에게 도를 전수하는 선인이 바로 남화노선(장자)이다. 장자는 만물 일원론을 주장하였다. 어느 날 장자는 자기가 나비가 되어 훨훨 자유로이 날아다니는 꿈을 꾸었다. 그러나 잠을 깨니 내가 꿈을 꾸고 나비가 된 것인지, 아니면 나비가 꿈을 꾸고 지금의 내가 되어 있는 것인지 모를 일이었다. 장자는 이처럼 상식적인 사고방식에 의문을 품고 유학자들이 말하는 도덕적 가르침 따위는 하잘 것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노자의 생각을 이어받아 자연으로 돌아갈 것과 무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였다. [사기]에 따르면, 장자는 일찍 몽(蒙) 칠원(漆園)의 관리가 되었으나, 생활은 매우 가난했다. [장자] 외편<추수(秋水)> 편에 따르면, 초나라 위왕(威王)이 사람을 보내 정치를 보좌해 주길 정했으나, 장자는 거절하였다. 그리고 혜자(惠子)와 교우했다. 장자의 인생론에서 이상적인 삶이란 근심의 근원이 되는 자기의 육체.정신을 버리고 허정(虛靜),염담(恬淡)의 심경에 도달하여 자연의 법칙에 따르고 어떠한 것에도 침해받지 않는 자유.독립을 얻어 세계의 밖에서 초연하게 노니는 것이다. 이것을 실현한 사람을 '진인'이라고 한다. 이 인생론의 근저에는 세계는 불가지의 실재인 도의표상이라는 세계관과, 개념적 인식과 가치판단은 불가능할뿐 아니라 무의미한 것이고, 철저한 무지만 올바른 것이라고 주장하는 지식론들이 깔려있다. 이 지식론은 명가(名家)의 궤변이나 전변(田騈)의 제물설(齊物說)의 비판적 섭취에서 성립, 얼마 후에는 세계관과 혼합되어 세계의 존재와 운동은'도'(道)에 의하여 지탱이 되고 있다는 존재론, 우주 생성의 전설을 받아들여 태초의 '혼돈'='도' 로부터 세계기 유출되었다고 하는 우주생성론 및 음양 오행설을 채용하여 물(物)의 생사를 기(氣)의 집산으로 설명한 자연론 등이 전개되었다. 장자의 노자사상은 노자와 장자를 묶어 흔히 노자사상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 둘 사이에는 차이가 있는데, 그것은 노자가 정치와 사회의 현실에 어느 정도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데 대해, 장자는 개인의 안심입명에만 몰두한 것이다. 노자가 혼란한 세상을 구하기위해 무위자연에 처할 것을 가르쳤던 반면에 장자는 속세를 초탈하여 유유자적하고자 했다. 즉 노자는 어느정도 공동체에 대한 관심을 가진 반면에 장자는 오직 개인에 대한것만을 강조하였다. 장자의 호접지몽(胡蝶之夢 또는 호접몽) 또는 서양권에서 나비의 꿈( 영어:The Butterfly Dream)은 중국의 전국시대의 송나라(현재의 하남성)에서 태어난 사상가로, 도교의 시조의 1명으로 여겨지는 인물 장자(장주)에 의한 설화이다. 장자의 생각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는 설화로서 꼬 그 대표작으로서 일반적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호접몽의 내용은 꿈 속에서 나비로서 팔랑팔랑 춤추며 날고 있다가, 깨어났지만, 과연 자신은 나비가 된 꿈을 꾸고 있었는지, 그렇지 않으면 지금의 자신은 나비가 꾸고 있는 꿈인가 하는 설화이다. 이 설화는 '무위자연''일체제동'의 장자의 생각이 잘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서 유명하다. '무위자연'을 장자의 말로 하면'소요유'가 되어, 그것은 목적 의식에 묶이지 않는 자유로운 경지이며, 그 경지에 이르면 자연과 묶이지 않는 자유로운 경지이며, 그 경지에 이르면 자연과 융화해 자유로운 삶의 방법이 생긴다고 장자는 말한다. 장자사 다른 설화에서 제출해온 '시와 비, 생과 사. 대와 소, 미와 추, 귀와 천' 등의 현실에 대립되고 있는 것에 보이는 것은, 인간의 '앎'이 낳은 결과이며, 장자는 그것을 '단순한 외관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한다. 장자는 그것을 3개의 설화로 나타내 보였는데 조삼모사, 원숭이 조련사가'아침은 3개로 밤은 4개다'라고 원숭이에 도토리를 주려고 했지만, 원숭이는 이에 화냈다..'그럼 아침은 4개로 잠은 3개다'라고 하니 원숭이는 기뻐했다는 설화이다. 결국은 1일 7개의 도토리를 먹고 있는 것으로, 어느쪽이나 같고, 대립되는 것을 생각하는 인간도 같은 것이라고 장자는 말한다."내 삶이 물가가 있어도 앎에는 물가가 없다" 사람의 일생에 한계가 있는데, 앎에는 그 한계가 없다. 한계까 있는 것 중에서 한없는 것을 뒤쫓아도 단지 지칠 뿐이라는 것을 말한다."지는 한한하고, 소지는 간간하다" 훌륭한 지혜는 유유히 하고 있지만, 시시한 지혜에 유혹해지는 인간은 급하다는 것이다. 이것들 3개가 의도하는 '그 정도의 소지라면 버려라'라는 사상을 단적으로 나타낸 것이, 이'나비의 꿈'이다. 여기에서는 꿈과 현실과의 대립이 제출되고 있어 어느쪽이 진실의 모습인가, 그것은 문제가 아니고, 나비일 때는 허허연으로서 나비가 되어, 장주일 때는 장주가 되고 있다. 그 모두 진실하고, 당신인 것에 변화는 없고, 어느 쩍이 진정한 세계인지를 논하는 것보다도, 머지않아도 긍정해 각각의 장소에서 만족해 살면 좋은 것이다. "꿈이 현실인가, 현실이 꿈인가? 그러나, 그런 일은 아무래도 좋다"라고 장자는 말한다.'앎'에는 어떤 확실한 판단은 없으니까, 생각해도 어쩔 수 없다. 앎의 판단으로부터 떨어져 보면, 차이나 구별을 넘은 세계가 모여 온다. 이것이, 장자가 말하는 '소유요'의 게셰이다. 이것이 만물제동의 세계에서 노는 것이며, 장자가 나비의 꿈을 통해 호소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물건의 변화란 표면에 나타난 현상면에서의 변화에 지나지 않는다. 나비와 장주가 형태 위서 큰 차이를 가지면서, 모두 당신인 것에 변화는 없다. 만물은 끊임없는 변화를 이루지만, 그 열매, 본질에서는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